|
100가지 식물로 읽는 세계사 |
|
인류의 역사를 함께 만들어온 식물들의 숨겨진 이야기 |
사이먼 반즈 (지은이), 이선주.. | 현대지성 | |
인류 문명은 태초의 나무 그늘 아래서 시작되었고, 식물과 함께 성장해왔습니다. 식물을 세계사의 숨은 주인공으로 초대하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.... |
|
|
한나 아렌트와 마틴 하이데거 |
|
스승과 제자로 시작된 관계가 철학적 동반자로 이어진 위대한 연대의 기록 |
엘즈비에타 에팅거 (지은이), .. | 산지니 | |
하이데거와 아렌트의 만남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를 넘어, 철학과 인간의 본질을 탐구한 여정이기도 합니다. 시대를 관통한 두 석학의 복잡하고도 깊은 관계를 조명한다.... |
|
|
그들의 대한제국 1897~1910 |
|
역사적 인물들의 생생한 기록으로 대한제국의 진면모를 탐구하는 매혹적인 역사 여행 |
김태웅 (지은이) | 휴머니스트 | |
대한제국, 과연 실패한 역사로만 기억되어야 할까요? 편견 없이 5인의 기록을 통해 그 시대를 관찰하며 새로운 시각과 만나보세요.... |
|
|
생각의 역사 |
|
인류의 사고와 아이디어의 역사, 그리고 우리 시대의 지적 과제 |
펠리페 페르난데스아르메스토 .. | 교유서가 | |
왜 인간은 생각이라는 도구를 통해 세계를 재구성할 수 있었을까요? 인류를 특별하게 만든 비결인,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상상하며 한계를 넘어선 사고의 역사를 탐구합니다.... |
|
|
바다의 제왕 |
|
바다와 생명의 경이로움을 일깨우는 두족류의 장대한 진화와 생존 이야기 |
대나 스타프 (지은이), 박유진.. | 뿌리와이파리 | |
지구의 5억 년 역사를 관통하며 살아남은 생물, 바로 두족류입니다. 극적인 진화와 뛰어난 적응력으로 이들은 오늘날에도 우리 곁에서 바다의 제왕으로 군림하고 있습니다. 두족류의 장대한 진화와 생존 이야기가 펼쳐집니다.... |
|
|
다시, 제노사이드란 무엇인가 |
|
폭력의 구조적 맥락을 파헤치며 사회적 파괴의 의미를 성찰하다 |
강성현 (지은이) | 푸른역사 | |
대량 학살은 단순히 과거의 비극으로 남지 않습니다. 제노사이드가 남긴 사회적 상흔을 통해 폭력의 본질과 책임을 묻습니다.... |
|
|
다시 조선으로 |
|
해방 조선의 민낯, 그리고 돌아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묻는 역 디아스포라의 의미 |
이연식 (지은이) | 역사비평사 | |
해방된 조국은 기대와는 달리 혼란과 모순으로 가득했습니다. 그 안에서 떠나고 돌아오는 사람들의 복잡한 감정과 얽힌 서사를 생생히 조명합니다.... |
|
|
부산의 환승역 |
|
환승역의 공간적 의미를 넘어 지역사와 사람들의 삶을 조명하는 특별한 여정 |
부산문화재단 (엮은이) | 호밀밭 | |
환승역은 단순한 교통의 거점이 아닙니다. 그곳엔 도시의 역사와 사람들의 이야기가 살아 숨 쉽니다. 부산의 환승역 속에 얽힌 사회적, 문화적 의미를 다층적으로 분석하여, 근대 부산의 흥미로운 이야기가 펼쳐집니다.... |
|
|
치명적 말실수 |
|
말 한마디로 운명이 바뀌었던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 |
이경채 (지은이) | 나무옆의자 | |
말은 세상을 바꾸는 힘을 가졌지만, 잘못 쓰이면 자신의 운명을 망칠 수도 있습니다. 조선 왕조 역사의 한 장면 속에서 말의 교훈을 찾아 오늘의 삶에 적용할 실마리를 제공합니다.... |
|
|
2차대전 해전사 |
|
2차 세계대전의 해양 전투와 해군 전략의 전체적인 흐름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해전사의 결정판 |
크레이그 L. 시먼즈 (지은이),.. | 책과함께 | |
2차 세계대전의 향방을 좌우한 바다 위의 치열한 전투를 통해 전쟁의 전모를 탐구합니다. 전 세계 해전사를 집대성하여 새로운 시각과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.... |
|